정확한 제도의 명칭은 근로자 직업능력개발훈련카드가 맞지만, 보통 내일배움카드,근로자 카드로 많이 부르기도 한다.
근무를 하고 있다고 해서 무조건 재직자 카드를 발급 받을수 있는 것은 아니다. 고용보험에 가입이 되어 있어야 한다.
그 뒤 발급 대상 구분을 짓는다. 업종, 근로자수, 자본금과 매출액을 바탕으로 사업장 규모가 결정이 되고, 고용 형태에
따라 구분이 된다.
발급 받을 수 있는 대상이 맞나요?
○ 사업장이 우선지원 대상기업인 경우 (고용노동부에 연락하면 본인 확인을 통해서 사업장 규모를 확인할 수도 있고, 본인 확인하는 것이 찜찜하다면 사업자 번호로도 안내를 받을 수 있다. )
○ 사업장이 대규모 사업장인 경우 비정규직 근로자 혹은 기간제 근로자(사업장에서 근무를 한 기간이 2년을 넘는다면 단시간과 기간제 근로자를 보호 하기 위한 법률에 따라서 기간제 근로자로 보지않아 어려움이 발생될수 있는데 근로자 5이상인 사업장만 적용되고 있다. )
○ 단시간 근로자 (내가 하루에 4시간 아르바이트를 한다고 해서 단시간 근로자로 보지 않는다. 사업장에서 똑같은 업무를 하지만 단시간 근로자로 근무하는 경우에만 해당이 되고 있다. *1주 소정근로시간이 36시간 미만)
○ 파견근로자
○ 일용근로자 (일용근로자들은 매일 근무를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재직자 카드를 신청할 날짜를 기준으로 30일이내에 신고된 근로일수가 10일 이상이라면 재직자 카드로 안내를 받을 것이고, 10일 미만이라면 실업자 카드로 안내를 받을 것이다.)
○ 고용보험 임의 가입 자영업자(사업자 등록증 상1년 이내에 근로자가 50명이하에 해당이 되는 개인사업장인 경우 고용보험 임의 가입 가능 , 고용보험료 체납이 없어야 됨 )
○ 180일 이내에 퇴사예정인 사람(퇴사사유는 중요하지 않는다고 함)
○ 대규모 사업장인 경우 만 45세 이상인 고용보험 가입된 피보험자인 경우
○ 사업주 훈련 이력이 3년 이내 없는 경우( 현재 근무하고있는 사업장 기준이아니라 , 신청할 당시에 3년 이내를 기준으로 본다고함 )
TIP
* 별정직 , 임기제 공무들은 고용보험 항목 중에서도 실업 급여 만 가입되기 때문에 카드 발급 안됨
* 자활 근로자도 고용보험 피보험자로 등록되어 있고 발급 대상이 맞다면 발급 받을 수 있다고 함.
직업능력개발 훈련카드 발급 방법은 ?
대상자에 해당이 된다면 사업장 또는 거주지 관할 고용센터로 방문을 하거나, HRD-NET 에서 신청가능하다.
온라인으로 신청하는 경로는 ?
HRD-NET접속 → 회원가입 하고 반드시 개인 공인 인증서로 로그인 -> 녹색 바탕화면에 있는 근로자 메뉴 중 내일배움 카드 신청 선택 하여 신청 가능함.
※ 추가 서류가 필요한 경우
◆ 기간제, 단시간, 파견 근로자 ▶ 근로계약서 필요로 하고있음
◆ 이직 예정자 ▶ 해고예고 통지서, 퇴사예정증명서, 근로계약서 등 이직을 한다는 증명 서류가 필요함 .
◆ 무급 휴직자 ▶휴직원, 노동위원회의 무급 휴업 심의 의결 통보서 등이 필요함.
◆ 육아휴직자(대규모) ▶ 노동부에서 임의 서식으로 이용하는 재직자발급용 육아휴직 확인서
나머지 대상자들은 재직증명서를 요청을 하기도 하지만, 대부분 신분증만 있으면 된다고 함.
카드가 빨리 필요한 경우는 ?
*온라인,방문 신청하는 경우 모두 통상 3주 정도 소요 되고 있다고 한다.
* 즉시 발급 프로세스를 이용한다면 통상 1주 정도 소요 되고 있다고 한다.
○ 즉시 발급 포로세스 라는 것이 있다. 즉시 발급이라고 해서 카드 발급 신청한 당일 날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. 또한
즉시 발급 프로세스를 이용하는 경우 체크 카드로만 이용 가능 하다.
▶ 고용센터 방문해서 카드 신청하고 귀가 ▶ 문자수신을 동의한 경우 처리되는 기간 7일 이후 담당자가 발급 결정을 문자로 통보 ▶ 신분증 지참하고 카드 발급 신청한 고용센터 재방문 하면 '즉시발급 확인서'라는 것을 줌 ▶ 지정된 은행에 방문해서
체크카드로 즉시 수령 가능함.
카드 발급시 연결 계좌는 ?
○ 신한카드
*체크 카드 : 농협, 국민, 우체국,우리,신한, SC(즉시 발급인 경우 신한은행 계좌만 가능함)
*신용 카드 : 모든 은행 계좌 가능함 .
○ 농협카드
*체크카드 : 농협계좌만 가능함.
*신용카드 : 모든 은행 계좌 가능함.
카드 유효 기간 은 얼마나 되나요?
○ 카드는 발급일로부터 3년간 유효하다. 유효기간이 끝났다 하더라도, 카드 뒷면에 있는 유효기간까지는 체크와 신용 기능을
이용할 수 있다.
[알면 쓸모있는 정보/생활속 공감] - 고용촉진지원금(고용촉진장려금)쉽게 이해하기
[알면 쓸모있는 정보/생활속 공감] - 출산육아기대체인력 지원금 신청하세요
[알면 쓸모있는 정보/생활속 공감] - 출산휴가급여신청 노동부에서 하기
[알면 쓸모있는 정보/생활속 공감] - 육아휴직급여 신청 노동부로 하기
'알면 쓸모있는 정보 > 생활속 공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조기재취업수당 서류 조건들 (0) | 2017.11.09 |
---|---|
실업급여 자진퇴사 수급요건은 (0) | 2017.11.06 |
껌때기 등등 생활속 유용할 팁 (0) | 2017.10.31 |
고용촉진지원금(고용촉진장려금)쉽게 이해하기 (0) | 2017.10.27 |
출산육아기대체인력 지원금 신청하세요 (0) | 2017.10.22 |